실시간뉴스
-->
[인터뷰] 동물해방물결 이지연 대표 ‘종차별주의’ 정의로운 인식 전환 필요
[인터뷰] 동물해방물결 이지연 대표 ‘종차별주의’ 정의로운 인식 전환 필요
  • 이지연 기자
  • 승인 2019.09.20 17: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물해방물결 이지연 대표

[한강타임즈] 동물의 권리를 주장하는 이들은 공감보단 여전히 수많은 반격을 더 마주하게 된다. “개고기를 먹지말자고? 그럼 소돼지는?”, “동물보다 사람이 먼저다”, “동물실험을 통해 인간이 수명이 늘어난거야”, “축산업 철폐? 종사자들은 뭐 먹고 살아?”등 동물권을 이야기 할 때면 인간은 늘 모순덩어리 또는 위선자가 되고 만다. 과거 동물원은 너무나 당연한 나들이 장소였다. 시간은 흘러 인간은 동물의 고통에 공감하고 그들의 누려야할 자유를 이야기하는 도덕적 수준에 도달했다. 수세기에 걸쳐 인간사회에 뿌리내린 동물을 통해 인간생활을 지탱해온 많은 행위가 한꺼번에 사라질 수는 없겠지만 동물의 기본권리에 대한 고민이 시작된 만큼, 당연했던 것을 당연하지 않다고 느끼지 않는 것에서 진보는 시작된다.

동물해방물결 이지연 대표는 단순히 동물을 좋아하는 애호의 차원을 넘어 정의의 관점에서 동물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보호받아야 할 동등한 주체라는 점을 강조하며 ‘종차별주의’를 이야기한다.

동물해방물결 이지연 대표. 사진제공=동물해방물결
동물해방물결 이지연 대표. 사진제공=동물해방물결

▲ 국내에선 조금 생소한 동물권.. 아직 불편한 인식도 많다

우리가 다른 존재를 먹기 위해 고통을 주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인가?, 인간의 생존을 위해 실험동물을 사용하는 것이 맞을까? 윤리적으로 잘못된 것이라고 본다. 다소 생소한 이런 물음에 반발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세상은 점점 변하고 있다. 개식용 문제만 놓고 봐도 리얼미터의 조사 결과 개도살금지법에 찬성하는 이가 더 많이 나타났다. ‘개도살 금지’를 이야기 할 때면 육견협회의 생존권도 꼬리표처럼 따라붙는다. 그러나 산업은 기술적 진보에 의해 변하기 마련이다. 시대 흐름에 따라 동물착취산업은 전환돼야한다. 이를 위해선 단계적인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 동물권 운동은 왜 필요한 것일까?

1차적으로 인간종에 속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인간 외의 동물을 고통스럽게 착취하는 행위 자체가 윤리적으로 옳지 못하다. 어떤 존재가 고통을 받는 다는 것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음에도 동물에게 행해지는 모든 가혹행위는 도덕적으로 정당화되기 어렵다. 동물을 이용하는 넓은 의미에서의 모든 동물학대는 결국은 인간에게 다시 돌아온다. 동물의 고통에 공감하는 사회를 만든다면 인간을 위해서도 좀 더 나은 세상이 도래할 수 있다. 동물을 존중하는 사회는 사회적 약자도 제대로 보호할 수 있다.

지난 7월 11일 동물해방물결 이지연 대표는 표창원 의원, 할리우드 배우 겸 동물권 운동가 킴 베이싱어와 함께 모든 동물의 임의도살 금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여는 모습.
지난 7월 11일 동물해방물결 이지연 대표는 표창원 의원, 할리우드 배우 겸 동물권 운동가 킴 베이싱어와 함께 모든 동물의 임의도살 금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여는 모습.

▲ 왜 동물권을 위해 나섰나?

동물원에서 열악한 환경에 갇혀있는 호랑이를 보고 동물문제에 진지하게 생각하게 됐다. 풀 한포기 없는 콘크리트바닥에 혼자 지내며 정형행동 반복하며 누가 봐도 불행한 생활을 하는 동물을 보면서 그것이 잘못됐다고 느끼기 시작했다. 오래 전 흑인노예들을 전시하며 구경했던일들이 지금은 ‘야만’으로 규정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동물권도 발전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우리사회에 불필요하게 전시되고 있는 동물원, 축산업, 동물실험 등 동물들에 대한 차별적 대우를 해결하고 싶었다. 단순히 동물을 좋아하는 동물애호 차원을 넘어 정의의 관점에서 동물도 마찬가지로 보호받아야 하는 인간과 같은 주체라고 생각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축산, 전시·교육, 과학 등 인간의 필요에 의해 동물을 이용하는 행위 자체 전면금지가 이뤄질 때 그것이 곧 동물해방이라고 본다.

▲ 동물해방물결이 현재까지 이뤄낸 성과

크게 보면 종차별주의 인식개선을 위한 ‘탈육식 캠페인(소·돼지닭 축산업 반대)’과  ‘동물 임의도살 금지법’촉구를 꼽을 수 있다. 탈육식 캠페인을 통해 육식이 가져오는 동물학대 및 환경파괴, 동물을 마음대로 이용하는 행위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종차별주의’ 인식개선에 대한 점진적인 변화를 이뤄내고 있다. 또한 축산물위생관리법상 합법적인 가축이 아닌 개는 아무렇게나 도살되는 것을 법으로 금지하는 ‘동물 임의도살 금지법’을 촉구하고 있다. 이 같은 활동으로 지난 8월 28일 ‘식용 목적 개 경매장’이 한국에서 처음으로 폐쇄됐다. 법의 사각지대에서 활개 치는 식용 목적 개 경매장의 실태가 알려지고, 철폐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 개 도살 금지 및 식용 종식을 앞당길 중요한 성과라고 생각한다. 또한 해당 법안 통과를 위해 식용 목적의 개도살을 금지할 수 있는 효과적 방법과 관련한 발표를 국회에서 진행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왼쪽 두번째)는 7월 12일 도청에서 킴 베이싱어(맨왼쪽), 크리스 드로즈 대표(왼쪽 세번째), 이지연 동물해방물결 대표(맨오른쪽)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청
이재명 경기도지사(왼쪽 두번째)는 7월 12일 도청에서 킴 베이싱어(맨왼쪽), 크리스 드로즈 대표(왼쪽 세번째), 이지연 동물해방물결 대표(맨오른쪽)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청

▲ 동물권에 대한 언론보도

언론도 결국 사회의 일부다. 언론이 인종차별주의적인 보도 또는 소수자들에 대한 차별적 보도를 한다면 그 행위는 사회적으로 비난받을 것이다. 종차별주의에 대해 깊이 있는 언론의 설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비인간동물 인간종에 속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대우받지 못한다는 사실, 동물을 고통스럽게 할 권리가 인간에겐 없다는 것을 언론이 먼저 인지하고 보도 한다면 많은 문제들이 다르게 보여 질 수 있을 것이다. 인류가 인종차별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타파한 것처럼 동물문제 또한 같은 맥락에서 고려한다면 동물들의 ‘고통받지 않을 권리’가 조금 더 빨리 도래하지 않을까 싶다.

▲ 정부에게 바라는 점

해외 정부들을 보면 어떠한 목적에서든 동물을 이용하는 행위을 금지하자는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며 사회적 인식을 법이나 정부정책이 따라가고 있는 추세다. 영국은 제3자 주도 반려동물 판매와 모피생산을 위한 동물사육 금지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도 마찬가지로 모피금지법이 도입됐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그런 케이스가 없다. 동물보호를 위한 선례가 될 수 있는 것은 '동물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일명 동물임의도살 금지법)이라고 생각한다. 국회에 이미 발의됐지만, 아직 법안심사소위에 상정되지 않아 통과되지 못하고 있는 점이 아쉽다. 이와 관련해 정부도 국민의 의식수준을 반영해 적극적 지원을 바란다.

  • 한강타임즈는 언제나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전화 02-777-0003
  • ▶ 이메일 news@hg-times.com
  • ▶ 카카오톡 @한강타임즈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