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타임즈 윤종철 기자 = 성동구(구청장 정원오)가 오는 7월까지 관내 사업장 108곳을 대상으로 ‘위험성평가’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위험성평가’는 사업장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 위험 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감소 대책을 수립해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중대재해 예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구는 매년 정기적으로 ‘위험성평가’를 실시해 관내 시설물에 대한 안전조치 강화 및 재해예방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는 관내 사업장 108개소에 대해 안전보건 전문기관과 합동으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점검을 시행할 예정이다.
특히 6월까지 구청사 등 사무공간을 비롯해 폐기물 집하장, 빗물펌프장, 공원관리사무소 등 상대적으로 산업재해에 취약한 곳을 중심으로 순회 점검을 실시한다.
3대 사고유형인 추락, 끼임, 부딪힘과 위험도가 높은 기계, 기구 및 유해화학물질 관리 등 유해‧위험 요인에 대해서는 위험성 감소 대책을 반드시 수립하여 철저히 개선할 방침이다.
특히, 올해는 근로자 대상 현장 청취조사를 강화하고 온오프라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잠재적인 위험 요소인 ‘아차 사고’까지 적극 파악해 실효성 있는 위험성 감소 대책 수립에 나설 계획이다.
‘아차 사고’는 작업자의 부주의나 현장 설비 결함 등으로 사고가 일어날 뻔하였으나 직접적인 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은 상태를 뜻한다. ‘아차 사고’ 관리는 사고 위험의 사전 파악 및 예방에 큰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구는 ‘위험성평가’ 실시 결과를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를 통해 공유할 예정으로, 대상자를 매우 위험한 사업장을 비롯한 모든 사업장으로 확대해 실제 사업장에서 작업하는 근로자 모두의 경각심을 일깨울 방침이다.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는 작업 직전, 현장에서 관리감독자 등 리더를 중심으로 작업자들이 모여 당일 작업 내용과 안전 수칙, 위험 요인을 서로 확인하고 논의·공유하는 활동이다.
한편 구는 ‘위험성평가’ 및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지난 3월 11일 관련 업무 담당자 약 70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 바 있다.
주요 내용은 ▲위험성평가의 중요성 ▲ 위험성평가의 절차 및 방법 ▲‘아차’ 사고 및 산업재해 사례 분석 ▲중대재해처벌법 및 산업안전보건법의 이해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의 중요성 등으로 실무 역량을 강화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근로자들이 산업재해 없는 안전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작은 위험도 놓치지 않기 위해 ‘위험성평가’를 철저히 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안전 점검과 상시 소통, 즉각적인 조치와 대응을 통해 빈틈없이 안전한 일터를 조성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 한강타임즈는 언제나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전화 02-777-0003
- ▶ 이메일 news@hg-times.com
- ▶ 카카오톡 @한강타임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