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
반도체법, 여야 '주 52시간제 예외' 평행선에 산자위 소위 문턱 못 넘어
반도체법, 여야 '주 52시간제 예외' 평행선에 산자위 소위 문턱 못 넘어
  • 이현 기자
  • 승인 2025.02.17 20: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7일 산자위 특허소위 법안 심사에서 '에너지3법'만 처리
김원이 국회 산자위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원이 국회 산자위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장이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강타임즈 이현 기자 = 반도체 특별법이 '주 52시간제 예외' 조항을 둘러싼 여야 이견에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의 범안 심사 문턱을 넘지 못했다. 

17일 국회 산자위는 소위를 열고 이른바 '에너지 3법'(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고준위방폐장특별법·해상풍력특별법)을 비롯해 반도체 특별법 등 시급 현안에 대한 심사에 나섰다. 다만 에너지 3법은 소위 문턱을 넘었으나, 반도체법은 주 52시간제 예외 조항에 대한 여야 찬반이 극명해 처리되지 못했다.

국민의힘은 반도체법의 경우 고연봉직인 연구개발자들에 대해선 주 52시간제를 예외 적용해야 반도체산업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입장인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근본적으로 근로 시간제 개편은 반도체법 진흥과 관련성이 떨어진다며 이에 선을 그으며 주 52시간제를 제외한 반도체법부터 선처리하자는 입장이다. 

민주당 간사를 맡고 있는 김원이 의원은 소위 직후 취재진에 "근로시간 특례 문제는 합의를 못 했다"며 "민주당은 그거 빼고 처리하자, 지금 안 하면 (조기대선 때문에) 5월까지 밀릴 것 같다는 것이었는데 국민의힘은 화이트칼라 이그젬션 (없으면) 처리 못한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근로시간 문제는 근로기준법에 다루는 게 맞다"며 "화이트칼라 이그젬션보다 훨씬 큰 게 전력, 전력망, 용수, 인력 양성 이런 문제가 정부의 (반도체 기업) 지원 근거를 의무 규정으로 만드는 거라 엄청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조국혁신당, 기본소득당 등 군소 야당들과 노동계의 등살에 주 52시간제 예외 특례조항 도입에서 말을 바꿨다고 지적한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지난 3일 이재명 대표는 반도체 토론회에서 고도의 전문적 연구자들에 대해서만 본인 동의하는 조건에서 특정 시기에 집중하는 정도의 유연성 부여하는 게 합리적이지 않냐고 했다"며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민주노총 등 강성 노조 반발에 부딪히자 국민을 기만했다"고 지적했다.

다만 이런 가운데서도 여야는 '반도체 클러스터' 입주 기업에 대한 지원 조항의 경우 부분 합의를 봤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반도체 클러스터 입주기업 등에 대한 보조금 지원' 조항이 있는데,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해야 한다'는 정부 의무규정으로 바꾼 것은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에서 김원이 소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에서 김원이 소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 한강타임즈는 언제나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전화 02-777-0003
  • ▶ 이메일 news@hg-times.com
  • ▶ 카카오톡 @한강타임즈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